J1 비자나 F1 비자 등의 소지자들은 거주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TurboTax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안된다.
(J-1 인턴 세금보고 글 참고 https://startax.tistory.com/1)
비거주자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며,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Sprintax 이다.
이 글에서는 Sprintax 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한다.
Sprintax 의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로그인 후 Personal returns 으로 시작한다.
1. 준비서류
시작 전 아래와 같은 준비 서류가 필요하다.
- 여권
- I-94: 미국의 입출입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I-94 의 출입국기록 발급 방법 https://startax.tistory.com/2)
- 소득 증빙: W-2, 1099-G, 1099-INT 등
- Visa정보(DS-2019 를 포함)
- SSN 은 일반적으로 W-2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2. 거주정보(Residency)
1) 시민권자 여부
세금신고 하려는 연도를 선택 한 후 넘어가면 거주 정보를 물어본다.
시민권자, 영주권자가 아니라면 아래와 같이 선택하면 된다.
2) 미국 입, 출국 일자
미국에 입, 출국 일자를 확인한다. 이는 I-94 에 기재되어 있는대로 쓰면 된다.
세금보고하려는 해 마지막에도 계속 있다면 Leave Date 에 12/31 을 선택한다.
만일 과거에 ESTA 를 통해 입국한 적이 있다면 Tourist visa 를 선택하면 된다.
그 외에는 해당 비자를 찾아서 Visa type 과 입, 출국 일자를 기록한다.
3) Visa 정보
DS-2019와 여권을 참고하여 Visa 정보를 입력한다.
2. 개인정보 입력(Getting to know you)
본인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되며 생소한 질문은 아래와 같다.
으로는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거래 여부를 묻고 있다.
대부분 No 를 하고 넘어가면 되며 미국 증권 계좌를 통해 거래를 한 경우 Yes 를 선택하면 된다.
1) About You
At any time during 20XX, did you receive as a reward, sell - in a digital asset ?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 거래를 한 적이 있는지 묻는 질문이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미국에서 증권계좌를 통해 가상화폐를 거래 했더라도 No 로 체크해도 무방하다고 본다.
2) Marital Status
Can you be claimed as a dependent on someone else's US tax return
다른 사람의 부양가족으로 세금신고를 하는지 묻는 질문이다. No
만일 가족 등이 미국에서 세금신고를 하며 본인을 부양가족으로 신청한다면 Yes 를 선택하면 된다.
3) Dependents
Do you have any dependets ? No
부양가족을 신청할 사람이 있는지 묻는 질문이다.
3. 소득 정보 입력(Let's Talk Money)
1) 소득 증빙 선택하기
본인이 세금신고를 위해 회사, 은행, 정부 등으로부터 받은 서류를 입력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세금신고를 처음 하는 경우 W-2 외에 입력할 것은 대부분 없다.
J-1 인턴이 받을 수 있는 서류는 대략 위 정도이다.
- W-2: 회사로부터 받은 급여와 원천징수 등 금액을 확인 할 수 있다. 한국의 원천징수영수증과 비슷한 서류이다.
만일 연중에 회사를 이직하였다면 이전 직장의 W-2 도 받아서 입력해야 하며 Quantity 에 수량을 수정한다.
- 1042-S: 은행 등에서 은행 계좌 개설시 은행에서 주는 경우가 있다.
- 1099-G: 지난 해 세금보고를 했다면 주 정부에서 발송 할 가능성이 높다.
- 1099-INT: 은행에 Saving account 등을 오픈했다면 받을 수 있다.
- 1099-DIV: 로빈후드와 같은 증권계좌를 통해 주식거래를 했다면 받을 수 있다.
2) 추가 세금 정보(Additional Tax Info)
- Estimated tax payments - 별도 추가 예납을 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No 하면 된다.
- Extentsion - 세금보고 연장을 신청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No 하면 된다.
- 과거 세금정보
지난 해 세금보고를 했다면 세금보고를 한 해와 Tax form 을 선택한다.
다만, 지난 해 세금보고서를 꺼내어 아래와 같은 숫자를 확인해서 입력해야 한다.
Did you ~ 2024 estimated tax 는 No 를 선택
Texas 와 같이 State Income Tax 가 없는 곳이 아니라면 지난 해 세금보고를 했다면 State도 함께 했을 것이다.
State 를 선택 하고 State 에서 환급을 받았다면 얼마를 환급 받았는지 기재한다.
* 주의: 만일 1099-G 를 주정부에서 받았고 위에 소득정보 입력 시에 입력하였다면 환급을 받았더라도 아래 환급 금액은
'0'으로 입력한다.
- 조세조약에 따라 일부 금액을 공제 해 준다는 내용이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4. 공제 비용(Offset your expense)
만일 종교단체 등에 기부를 했다면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아무 단체에나 되는건 아니고 연방에서 인정하는 단체여야 한다.
아래 화면에 기부한 금액을 입력한다.
(기부단체에 기부금 관련 증빙을 받아 놓는 것을 추천한다.)
5. DS-2019 정보(About your college)
DS-2019 의 Sponor 정보를 기입하는 곳이다.
아래 별표 된 Box 2 의 Sponsor name과 Box 7 의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6. 주 정부 세금보고
주 정부 세금보고를 추가한다.
7. 최종 검토(Summary)
최종 리뷰를 할 때 아래 사항을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1) Income you get taxed on: W-2와 기타 소득 증빙 서류로 입력한 Income 금액이 모두 들어갔는지
2) Tax treaty $ 2,000 이 반영 되었는지
3) Itemized Deductions 에 금액이 있는지(만일 0으로 기재되어 있다면 W-2 에서 일부 숫자를 누락했을 것이다.)
4) Tax Refund / Tax owed: 환급받을 금액이 있다면 Tax refund, 추가 납부할 세금이 있다면 Tax Owed 라고 표시 될 것이다.
8. 납부 방법 선택하기
만일 추가 납부해야 할 세금이 있는 경우 Sprintax 에서 어떻게 납부 할 것인지 물어본다.
납부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도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할 것은 Credit card로 결제하는 경우 수수료가 있다.
(세금 납부 방법 https://startax.tistory.com/3)
9. 환급 방법 선택하기
환급받을 금액이 있다면 Sprintax 에서 아래와 같이 질문한다.
1) Bank 로 자동이체 받기: 미국에 계좌가 남아 있는 경우 가장 간편한 방법이다. 다만 한국에 귀국하는 등의 사유로 계좌를 닫았다면 선택할 수 없다.
2) Check로 받기: Tax return 한 주소로 환급금액이 Check 발송된다. 만일 이사 계획 등이 있다면 아래 Check 를 잊지 말도록 하자
3) 다음해 이월: 환급받지 않고 해당 금액을 내년도 credit 으로 이월하는 방식이다. 추천하지 않는다.
10. Post-filing support
추후 문제가 생겼을 시 돈을 내면 도와주겠다는 문구인데 무시하고 지나가면 된다.
11. 최종 결제
아래와 같이 Federal 과 State 의 수수료를 모두 결제하면 세금보고가 끝이 난다.
12. Spintax process를 마친 후
위 절차를 마무리하면 Sprintax 에서 추후 세금보고서를 어떻게 file 하는지에 대해서 E-mail 을 발송한다.
해당 내용을 참고하여 세금보고를 마무리 하면 된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
(세금납부 https://startax.tistory.com/3)
(세금 보고서 발송 https://startax.tistory.com/4)
'미국 세금 관련 (US Tax) > J(인턴 등)visa 세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프 택스 보고 - 세금 환급 상태 확인 방법 (0) | 2025.02.24 |
---|---|
비거주자 FICA Tax(Social Security, Medicare tax) 환급 방법 (0) | 2025.02.19 |
셀프 택스 보고 - 세금보고서 발송 (3) | 2025.02.13 |
셀프 택스 보고 - 세금 직접 납부 방법 (0) | 2025.02.04 |
미국 J-1 인턴 세금 보고 (0) | 2025.01.27 |